요통을 일으킨 질환

home  〉 진료분야  〉 요통[허리부위]

sub_pain_img_main001

천장관절 증후군
엉덩이관절

Sacroiliac joint syndrome
여러 인자들에 의해서 천장관절통이 서서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천장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증가시키는 식으로 작용하는 위험인자들에는 비만, 다리 길이의 차이, 보행장애, 지속적인 긴장이나 낮은 수준의 외상, 척추 측만증, 임신, 수술 등이 있습니다.

icon_11

< 원인 >
비만, 다리 길이의 차이, 보행장애, 지속적인 긴장이나 낮은 수준의 외상, 척추 측만증, 임신, 수술 등이 있습니다.

천장관절 증후군의 증상

sub_pain_radimg_001
  • 환자들은 대부분 병력상 기립이나 보행으로 증가하는 요둔부통증을 호소합니다.
  • 아래허리 통증,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악화되는 통증이 있는경우
  • 천장관절의 압통시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둔부로부터 동측 대퇴전면부, 서혜부와 허리 그리고, 대퇴 후면을 거쳐 하퇴로 통증이 있습니다.
  • 대부분 동측 둔부의 통증을 호소하며 간혹 대퇴 상부의 후외측으로 통증이 뻗친다고 호소합니다.

치료

즉각적인 통증의 호전

  • 차단술 시행
  • 차단술 비시행

12시간 내

  • 호전
  • 기타

치료는천장관절차단술을시행할경우환자들의 50-80%에서 즉각적인 통증의 호전을 보이며 12시간 내에 90%에서 호전이 있다.

sub_pain_img_main002

후관절 증후군 [ 척추 ]

Facet joint syndrome
후관절 증후군은 일종의 퇴행성 척추증으로서 요통과 하지 연관통을 호소하며 약 15-45%의 유병율을 보인다.

천장관절 증후군의 증상

sub_pain_radimg_002
  • 허리를 뒤로 젖히면 통증이 더 심하며, 앉아 있으면 서 있는 것보다 편합니다.
  • 허리가 편측[한쪽] 으로 아플 수 있다.
  • 추관절 증후군의 연관통은 하부요추 후관절인 경우에는 둔부, 대퇴부 등에서 나타납니다.
  • 상부요추 후관절인 경우에는 옆구리, 서혜부, 장골능 (iliac crest )부위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아침에 일어날 때 허리가 뻣뻣하나, 움직이면 차차 호전됩니다.

진료

추간관절블록이나후지내측지블록으로통증이없어지면확실한진단이될수있다. 호발 부위는 제 5요추와 제 1천추이다.

sub_pain_img_main003

추간판내장증
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원반 형태의 구조물

Intradiscal derangement
추간판 내장증은 화학적, 형태학적, 생물물리학적 특징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압박으로 심각한 압박손상이 일어나거나 피로로 인한 척추 종판에 작은 골절이 발생하여 촉진되고, 추간판 수핵이 퇴행되면 압박부하를 견디는 힘이 감소되어 추간판의 섬유륜까지 여러 등급의 방사선의 내부균열로 야기되는 질환으로 만성 요통과 하지에 연관통을 나타낸다.

추간판내장증의 증상

sub_pain_radimg_003
  • 오래 앉아있거나 전방굴곡 시 통증이 더욱 심해집니다.
  • 원인은 대개 엉덩방아, 추락, 무거움 물건들기, 교통사고 등 외상 과거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단순방사선 검사나 CT 소견상 별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MRI의 발달로 추간판 내장증의 진단이 비교적 용이해졌다. 해당추간판이 통증의 원인이라고 생각되면 치료목적으로 국소마취제 및 스테로이드를 추간판내로 주입하기도 합니다.

sub_pain_img_main004

추간판탈출증
허리디스크

Herniated disc
추간판 탈출증은 요통과 연관통, 방산통을 동반하는 수가 많으며, 하지직거상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당긴다’고 호소하는 경우 환자는 ‘디스크’또는 ‘좌골신경통’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지만, 순수한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요통 및 하지통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추간판탈출증의 종류 및 증상

sub_pain_radimg_004
돌출 탈출 격리
처음에는 동심성 파열 점점 확대되어 방사성 파열로 이어져 수핵으로 연결 시간이 경과하여 추간판은 속에서 완전히 파열되게 되고, 결국 추간판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섬유륜이 느슨해져 파열된 부위로 추간판 탈출

추간판에 지속적인 압력을 주게되며 추간판의 탈출은 돌출, 탈출, 그리고 격리의 3 가지 유형이 있다.
추간판 탈출증은 제 4-5요추 혹은 제 5요추-제1 천추에서 호발한다. (약 95%) 대부분 척추관 내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신경 압박 증상은 해당 추간판보다 한 레벨 아래 신경분절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치료

보존적치료로도어느정도치료효과를볼수있으나, 신경차단술은 확실한 효과가 있다. 추간판이 심하게 돌출되거나 격리된 경우, 그리고 신경증상이 진행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으며, 내시경을 이용한 디스크 절제술도 시행할 수 있다.

sub_pain_img_main005

급성 요부 염좌와
근근막 통증 증후군

lumbar sprain & myofacial pain syndrome
급성 요부 염좌는 근골격계의 일부파열로 급성요통이나 하지의 연관통을 나타내며 대개 수주일 이내 증상이 좋아지는 것이 보통이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허리를 옆으로 뒤틀거나, 구부리거나, 추락, 교통사고 등으로 발생하지만, 아주 미미한 원인으로 발생 가능합니다. 증상을 통해 대개 진단이 가능하고, 신경차단술을 시행하면 이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icon_11

< 원인 >
요부의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나쁜 자세, 다리 길이의 차이, 스트레스, 외상, 수술후, 내장 질환과의 연광통 등에 의해 요부의 근육에 지속적인 긴장을 주어 발생하게 됩니다. 척추 기립근에 잘 발생하며, 특히 요방형근은 허리의 회전 및 옆으로 굽히기에 관여하기 때문에 근근막 동통 증후군에 걸리기 쉽습니다. 그 외 둔부의 중둔근에도 잘 생기며, 이 경우 대퇴부 후면에 방사통이 나타납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05
  • 증상은 처음에는 매우 심하므로 이상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치료

통증유발점주사를 하고 이어서 근육의 방향대로스트레칭을 해주면효과가 있습니다.

sub_pain_img_main006

척추관 협착증
요통 및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질환

Spinal stenosis
추간판이나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는 관절비후, 골주 등으로 인하여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고, 신경근의 압박과 염증으로 인해 주로 하지 통증 증상이 나타납니다. 주증상은 둔부에서 하지에 저린 통증과 신경성 간헐적 파행이다. 간헐적 파행에는 마미신경 압박에 의한 것과 신경근 압박에 의한 것이 있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

sub_pain_radimg_006
  • 신경성 간헐적 파행은 일정거리를 걸어가면 다리가 저리고 아픕니다.
  • 앉거나 앞으로 구부릴 때 증상이 완화되거나 없어집니다.
  • 보통 환자들은 버스 한 정거장을 가는데 몇 번 쉬어 간다고 말합니다.

치료

치료는경구진통제및운동요법, 물리치료 등을 시행하며 신경차단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다면 수술을 시행합니다.

sub_pain_img_main007

척추수술 후 통증 증후군

보존적 치료를 철저히 시행
척추 수술후 통증 증후군은 단일병태가 아니라 골성이상, 관절의 문제, 근육의 변화, 신경장애 및 심리적 요인등 복잡한 요소들이 관여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술의 절대 적응증을 제외하고는 신경차단술을 비롯한 보존적 치료를 철저히 시행하여 척추수술후요통빈도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치료

수술부위의유착이매우심하여신경차단술이매우힘들며, 스테로이드의 항염증 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카테터 혹은 내시경을 이용한 경막외 신경성형술을 시행한다. 다른 어떤 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때에는 척수 자극술을 시행한다.